시니어의 시간, 인생의 의미를 찾아서
인생의 흐름을 생각할 때, 성경의 깊은 통찰은 삶의 본질을 되돌아보게 만듭니다. “우리의 연수가 칠십이요 강건하면 팔십이라도 그 연수의 자랑은 수고와 슬픔뿐이요 신속히 가니 우리가 날아가나이다.” (시편 90:10) 이 구절은 인간의 삶이 한정되어 있고, 아무리 힘이 남아 있어도 결국은 고단함과 아쉬움이 남는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합니다. 다윗 왕 역시 인생의 만년에서 “나이가 많아 늙으니 이불을 덮어도 따뜻하지 아니한지라.” (열왕기상 1:1)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시대를 초월해 인간이 겪는 노쇠함과 시간의 속도는 변하지 않는다는 말씀입니다. 시니어의 삶은 단순히 연령의 문제, 육체적 노화의 과정만을 뜻하지 않습니다. 오랜 세월을 살아오며 축적된 삶의 경험, 사회적 관계, 감정의 곡선, 그리고 내면의 성장까지 모두가 쌓여온 시간의 층입니다. 청춘이 다 지나고 어느덧 칠십, 팔십에 가까워지면 한 해 한 해의 의미는 더욱 또렷해지고, 지나온 세월의 무게는 그 어느 젊은 시절의 하루보다 묵직합니다. 옛 친구의 부고를 듣고, 자녀들이 타지에서 소식을 전하며, 사소한 불편이 커다란 두려움으로 바뀌는 오늘. 삶의 진동은 잔잔하지만 깊고 또렷합니다. 시편의 고백처럼 “신속히 가니 우리가 날아가나이다”라는 감각은, 시니어에게 더 직접적으로 다가옵니다. 어린 시절 느렸던 시간, 청춘에 쏜살 같던 나날들은 어느새 자취를 감추어 버리고, 남은 시간은 번개처럼 빠르게 흘러갑니다. 내일이 오늘 같을까?라는 사색이 일상과 함께 서 있습니다. 병원 진료나 약봉투에서 느끼는 생의 무게, 친지의 변화를 바라보며 경험하는 상실은 슬픔뿐 아니라 삶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동시에 일깨웁니다. 이불을 덮어도 따뜻하지 않다던 다윗 왕처럼, 우리의 몸은 시간에 의해 점차 약해지고, 때로는 가족과도 다른 고독의 온도에 노출됩니다. 그러나 이런 순간에도 존재의 의미를 생각하는 시간, 삶의 새로운 성찰이 시작됩니다. 나를 위해, 가족을 위해, 사회를 위해, 이제는 지나온 날을 돌아보고 ...